이번에는 수족구병 증상과 예방조치를 어떻게 하면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수족구병이란 손, 발의 발진과 구강 내 궤양성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4세 이하 어린이에게 발생합니다. 엔테로바이러스 중 하나는 다니자키 바이러스 A16 또는 엔테로바이러스 71 감염 후에 발생합니다. 특히 엔테로바이러스 71은 뇌수막염이나 뇌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 증상의 원인입니다.
수족구병 원인은 주로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 수포 점액 등의 비말을 통해 감염됩니다. 때때로 대변 및 기타 경로를 통해 경구 감염됩니다. 감염환자와 접촉한 후 약 4~6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식욕부진, 권태감이 나타나고 손, 발, 입안에 물집, 궤양 등이 나타납니다.
수족구병 원인 바이러스 중 엔테로바이러스 71번은 뇌수막염이나 뇌염의 원인입니다.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이 바이러스가 중추신경을 침범해 뇌수막염, 뇌염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에 걸린 아이가 구토, 심한 두통,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중추신경계 합병증을 막기 위해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수족구병 증상입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많이 발생하며 입안의 물집이나 궤양, 손이나 발의 수포성 발진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대체로 가벼운 질환에 속하며 미열이나 무열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강 인두는 붉게 부어오를 수 있으며 혀 점막, 목 인두, 입천장, 잇몸 및 입술에 물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 증상의 발진은 발보다 손이 3~7mm 많은 수포성으로 손등과 발등이 손바닥과 발바닥보다 많고 엉덩이와 사타구니에도 발진이 생기며 엉덩이에 생기는 발진은 일반적으로 수포가 형성되지 않습니다. 수포는 일주일 정도 지나면 좋아집니다.
엔테로바이러스 71에 의한 수족구병 증상은 콕사키바이러스 A16보다 더 심각하며, 무균성 뇌수막염, 뇌염, 마비성 질환 등 신경계 질환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 증상은 일반적으로 증상과 피부 병변에 따라 진단됩니다. 병변이 구강에서만 발생하는 경우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과 구별해야 합니다.
분비물을 통해 바이러스 검사를 해야 확정되지만 금액이 높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시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수족구병 증상 치료법입니다.
수족구병은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항바이러스제 등 특별한 치료법은 없습니다. 수족구병 증상은 십중팔구 삼일~7일 이내에 사라지고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호전된다고 합니다. 수족구병 증상이 심한 급성기에는 입안의 통증으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지 못하고 탈수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쇼크나 탈진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아파도 물을 자주 마셔야 합니다. 먹는 양이 심하게 줄어들면 병원에 입원해 정맥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 탈수를 예방해야 합니다.
수족구병 증상 및 예방조치
기저귀를 갈거나 똥으로 더러운 것을 씻은 후에는 비누로 손을 자주 씻어야 합니다. 환자와 자녀의 신체접촉을 제한함으로써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발병 초기 며칠 동안은 집단생활에서 배제하기도 합니다. 수족구병 증상은 코와 목 분비물, 침, 수포 점액 또는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 스스로 접촉하면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므로 환자와 접촉 후 손을 잘 씻어야 합니다.
미리 미리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물놀이 후에는 전신을 깨끗히 씻어 건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까지 수족구병 증상 및 예방조치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어디까지나 일반정보로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은 정보입니다]
'건강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간에 좋은 음식 지방간 없애는 방법 (0) | 2023.03.05 |
---|---|
췌장암 원인 이렇습니다. (0) | 2023.03.05 |
발작 원인 및 증상 BEST 7가지 (0) | 2023.03.04 |
가래가 많이 나오는 이유 이것때문입니다. (0) | 2023.03.04 |
손가락 마디 통증의 원인과 자가치료방법 (0) | 2023.03.04 |
댓글